본문 바로가기

웨이퍼 만드는 남자들, SK실트론의 임직원을 만나다

웨이퍼 만드는 남자들, SK실트론의 임직원을 만나다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전자기기에는 반도체가 사용되고 있고, 그 반도체는 웨이퍼(Wafer)를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그렇다면, SK그룹에서 웨이퍼를 생산하는 관계사는? 네, SK실트론입니다! 웨이퍼 만드는 남자들, SK실트론의 이재덕 사원과 최우혁 사원을 만나고 왔습니다.

 

SK Careers Editor 황경현

 

 

Q.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재덕 사원 : EPI공정기술팀에서 일하고있는 이재덕입니다. 작년 7월입사하여 1년 2개월째 근무 중입니다.

 

 최우혁 사원 : 저는 올해 1월에 입사한 입사 9개월 차, R&D센터의 그로잉 개발부문 시뮬레이션팀에서 일하는 최우혁 입니다.


Q. 소속 부서의 구성 및 업무, 그리고 그 안에서 자신의 역할은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이재덕 사원 : 저희 부서를 설명드리려면 웨이퍼 종류에 대해 간단하게 말씀드려야 할 것 같아요. 웨이퍼는 크게 폴리시드(Polished) 웨이퍼와 에피택셜(Epitaxial) 웨이퍼로 구분되는데요, 저희 부서는 폴리시드 웨이퍼를 받아 증착시켜 에피택셜 웨이퍼를 만드는 부서입니다. 저는 에피택셜 웨이퍼의 평탄도(flatness)와 웨이퍼 위에 파티클(particle)이 얼마나 있는지 측정하고, 패킹까지의 후공정을 담당하는 파트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최우혁 사원 : 저는 실리콘 결정을 성장시키는 그로잉(Growing) 개발그룹에 소속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시뮬레이션(Simulation)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결정을 성장시키기 전에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지 예측하고, 결과값을 분석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요. 쉽게 말씀 드리자면 실제로 생산하기 전에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하고, 그 결과값을 분석하여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Q. 학부 전공이 무엇이고, 지원 시 직무를 선택할 때 어떤 기준을 두고 지원하셨나요?

 이재덕 사원 : 저는 학부에서 물리학과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했습니다. 취업을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은 ‘내가 전공을 살려서 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였는데요, 이러한 고민 끝에 SK실트론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지원 시 직무는 R&D와 공정기술 크게 두가지를 고민했는데, 학사이기도하고 연구보다 생산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공정기술을 선택했습니다. (왜 생산기술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 하셨나요?) 생산이 되어야 매출이 발생하고 매출이 발생해야 회사가 돌 수 있으니까요.

 

 최우혁 사원 : 학부 전공은 화공생명공학입니다. 학부 시절에 실제 실험보다는 공정제어나 공정설계 같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설계를 배우는 수업에 관심이 많았었는데요, 이러한 관심이 SK실트론을 지원할 때에도 영향을 미쳐서 R&D, 특히 시뮬레이션 직무에 지원하였습니다.


Q. 해당 직무에 지원 또는 배치 당시 어떤 것을 기대 하셨나요? 그리고 실제로 직무를 수행하면서 본인의 생각과 가장 크게 달랐던 부분을 말씀해주세요.

 이재덕 사원 : TV뉴스에서 본 반도체 관련 영상을 생각하면 자동화된 시스템을 떠올리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사실 아직 사람이 하는 일이 많아요. 저도 공정 후에 테스트하거나 측정하는 일들을 기계와 컴퓨터가 할 줄 알고 있었는데 클린룸에 사람이 직접 들어가서 하는 일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또, 소비자에게 직접 가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반도체와 관련된 전공을 공부지만 웨이퍼를 직접 보거나 실험해본 등의 경험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배운 것들이 적용될 범위가 생각보다 적었어요. 입사 후에는 모든 공정을 새로 배운다는 생각으로 하나씩 배웠습니다.

 

 최우혁 사원 : 저는 학부 때부터 관심있던, 컴퓨터를 사용해 시뮬레이션하고,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직무에 지원했는데요, 운이 좋게도 배치도 제가 원하던 부서로 받았습니다. 학사들은 지원한 직무와 다른 곳으로 배치되는 경우도 더러 있는데, 저는 제가 원하던 직무로 배치되었고, 또 지원할 때 생각했던 것과 같은 일을 하고 있어서 굉장히 만족스럽습니다.


Q. 업무를 수행하시면서 가장 뿌듯했던, 혹은 인상적이었던 순간을 이야기해 주세요.

 이재덕 사원 : 입사하고 6개월 정도 지났을 때, 회사생활하면서 기억에 남는 일들을 임원분들 앞에서 발표하는 자리가 있었어요. 당시 후공정 과정에서 메탈 성분이 검출되는 이슈가 있었었는데, 제가 입사하기 전부터 있었던, 2~3년 된 이슈였으나 해결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저는 메탈 성분이 어디서 검출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수많은 경우의 수를 나누어서 테스트를 했고, 원인을 찾아 해결까지 해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발표를 했었는데 많은 칭찬과 인정을 받았고 이를 통해 SK실트론의 구성원이라는 소속감을 느꼈던 경험이 있습니다.

 

 최우혁 사원 : 저는 제가 생각한 내용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을 했을 때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즉 정합도가 높을 때 가장 기분이 좋았습니다.


‘내가 배우는 것들이 실제로 얼마나 쓸모가 있을까’는 학생들이 전공 공부를 하면서도 많이 고민하는 부분인데, 저는 직무 특성상 일을 하면서도 이런 고민을 끊임없이 하고 있어요. 실제로도 이론적으로 생각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와 실제 실험을 했을 때 다른 결과가 나올 때도 있고요. 그러다 보니 이론과 실제의 괴리가 좁혀지는 그 순간이 가장 즐겁습니다.


Q. 해당 직무에 가장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고, 지원자들이 자기소개서를 작성 할 때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이 있을까요?

 이재덕 사원 : 생산기술 직무에 가장 필요한 역량은 식상하지만 ‘열정’인 것 같아요. 왜냐하면, 공정상의 문제를 해결할 때 답이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의 수를 두고 시간을 갖고 찾아가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이런 것들을 흐지부지하고 넘어가면 고객에게 제품이 전달되었을 때 문제가 커집니다. 특히 저는 검수하는 후공정 업무를 하고 있기 때문에 꼼꼼하게, 또 열정을 갖고 작은 문제부터 해결해 나가려는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블라인드 채용을 비롯해서 스펙을 배제한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저도 취업준비하면서 ‘회사에 지원하는데 한국사, 한자 자격증이 왜 필요한가’ 라는 고민을 많이 했어요. 이런 스펙이나 자격증 보다, ‘이것 만큼은 정말 열심히 했다’고 자부할 수 있는 경험이 있다면 그런 경험을 자기소개서에 잘 살려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최우혁 사원 : 저는 어느 직무든 직무에 대한 관심이 가장 중요하고 생각해요. 흥미의 연장선에 있는 일을 해야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평소에 관심있는 산업군이든 하고싶은 직무든 자신이 관심을 가진 일을 해야 열정을 갖고 임할 수 있습니다.


자기소개서는 지원한 직무와 전공과목에서의 경험을 연결시켜서 쓰는 것이 가장 좋은 것 같아요. 특히 이공계 전공자들은 전공수업에서 수행한 프로젝트 경험들을 어떻게 자신이 지원한 직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를 고민해서 어필한다면 매력적일 것 같습니다.